걸즈 밴드 크라이

최근 편집일시 : (♥ 0)

[[걸즈 밴드 크라이



사카이 카즈오 감독 애니메이션


걸즈 밴드 크라이 (2024)
ガールズバンドクライ
GIRLS BAND CRY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1.2. 캐릭터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4.2. 다이아몬드 더스트
6. 회차 목록
7. 회차별 WEB 예고편
9. 미디어 믹스
9.1. 게임
9.2. Blu-ray & DVD
10. 기타
11.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기획하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감독은 사카이 카즈오, 방영 시기는 2024년 4월. 풀 CG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다. 일본에서 공식 약칭은 걸크라/가루쿠라(ガルクラ). 한국에서는 앞 글자를 딴 걸밴크로 불릴 때가 많다.

현재는 공식에서도 '애니메이션' 걸즈 밴드 크라이로 소개하고 있으나, 성우진을 뽑을 때의 오디션에서는 '걸즈 밴드 프로젝트'라고 소개했기 때문에 추후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로 정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2. 공개 정보[편집]


  • 2023년 5월 29일에 첫 곡인 名もなき何もかも#名もなき何もかも, 偽りの理를 공개, 초기 스태프, 성우진 발표와 동시에 프로젝트 개시를 발표하였다.
  • 2023년 12월 20일 티저 PV와 키 비주얼, 추가 스태프 정보가 공개되었다.
  •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아버지'라 불리는 프로듀서 히라야마 타다시가 토에이 애니메이션으로 이적해서 새로 만드는 기획이다. 감독, 각본, 애니메이터 등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초기 스태프가 이쪽으로 모였다. 다만 각본가 하나다 줏키 말로는 러브 라이브와 다른 방향을 추구하는 작품이며 다른 작품이 될 것이라고 한다.
  • 히라야마 타다시 프로듀서는 CG로 한 이유에 대해서 "버튜버가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사람들이 버튜버에 익숙해졌다. 그와 비슷한 애니를 선보이고 싶었다"라고 한다.
  • 히라야마 타다시 프로듀서 말로는 버튜버 같은 움직임을 선보이기 위해 대부분의 CG, 작화[1]를 1초에 24 프레임까지 썼다고 한다.[2] 3D 애니메이션도 연출, 제작비, 용량 등의 이유로 보통 24프레임이 최대이며 그것도 이론상 최대일 뿐 대다수의 TV판 CG 애니메이션은 8~12프레임을 기준으로 낮춘다.[3]
  • 히라야마 타다시 프로듀서는 밴드로 한 이유에 대해 "이제 일본 아이돌은 K-POP을 이기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밴드를 잘 안 한다. 밴드에 일본 음악의 돌파구가 있다고 생각했다"라고 밝혔다.
  • 왜 락을 소재로 선택했냐는 질문에 히라야마 타다시 프로듀서는 "이 작품을 기획한 것이 2019년이거든요. 그런데 다 만들고 제작하면 몇 년 뒤가 됩니다. 그때는 2020 도쿄 올림픽 이후가 될 거고, 올림픽 이후엔 대체로 불경기가 옵니다. 불경기가 오면 락이 유행하죠. 그때 락 음악 애니메이션을 내면 성공할 것 같았습니다. 그것보다 늦게 나왔지만." 이라고 밝혔다.
  • 제작위원회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단독 스폰서로 참여해 제작 및 홍보비 전액을 투자하는 식으로 제작된다. 이 덕분에 다른 스폰서 업체의 간섭 및 눈치를 볼 필요가 일절 없는 대신, 상업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해졌다.

2.1. PV[편집]



2.1.1. 본편[편집]


티저 PV

본 예고 제1탄

본 예고 제2탄

애니플러스 PV


2.1.2. 캐릭터[편집]








2.2. 키 비주얼[편집]




3. 줄거리[편집]


'분노도 기쁨도 슬픔도 모조리 담아라.'

고등학교 2학년, 학교를 중퇴하고 홀로 도쿄에서 대학 입학을 목표하게 된 주인공.

동료에게 배신당해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는 소녀.

부모에게 버려져 대도시에서 혼자 아르바이트를 하며 먹고사는 여자아이.

이 세계는 언제나 우리들을 배신하지만.

무엇 하나 맘대로 되는 게 없지만.

그래도, 우리들은 뭔가를 좋아하고 싶으니까.

자신의 안식처가 어딘가에 있다고 믿고 있으니까.

'그러니까, 노래한다.'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편집]



4.1. 주역 밴드: 토게나시 토게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토게나시 토게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걸밴크 캐릭터 재업.png
주인공 일행. 왼쪽부터 루파, 스바루, 니나, 모모카, 토모.
17세. 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보컬 담당.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도쿄로 홀로 상경해 대학 입시를 준비하던 도중, 밴드 활동에 발을 들이게 된다. 세상 물정에 다소 어두워 엉뚱한 모습을 보이곤 한다.

17세. 드럼 담당. 유명 배우 집안 출신으로 현재 연예학교에 다니고 있다.

20세. 기타 담당. 과거 다이아몬드 더스트라는 밴드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밝고 남을 잘 챙기는 큰 언니 같아 보이지만, 마음에 안 들면 냅다 Fuck You를 날릴 정도로 거친 일면이 있는 게 특징.

  • 루파(ルパ) - 성우: 슈리(朱李)
22세. 베이스 담당. 남아시아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예술 감각이 뛰어나고 머리도 좋지만, 소심한 성격이다.

16세. 키보드 담당. 본래 유명한 부자 집안의 영애이지만, 부모님과의 사이가 틀어져 현재는 독립해서 살고 있다. 고슴도치처럼 경계심이 강해 마음을 잘 열지 않는다.


4.2. 다이아몬드 더스트[편집]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유명 4인조 걸즈 밴드. 과거 고등학생 시절의 모모카가 친구들과 함께 결성했으며, 본편 이전 시점에 내부적인 문제로 모모카가 탈퇴해 새 멤버를 영입 후 메이저 데뷔를 했다. 약칭은 다이더스.

17세.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보컬 담당으로, 카와라기 모모카가 다이아몬드 더스트에서 탈퇴한 이후 보컬로 들어갔다. 주인공 니나의 고등학교 동창.

20세.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베이스 담당.

20세.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기타 담당.

20세.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드럼 담당.


5. 음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걸즈 밴드 크라이/음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회차 목록[편집]


파일:애니플러스 로고 white.svg 신작 시간표
[ LIVE 생중계 시간표 ]
[ TV 방송 시간표 ]



  • 전화 각본: 하나다 줏키
  • 각 화의 제목은 실존하는 일본 노래이다. 90~00년대의 유명 얼터너티브 록 밴드의 비중이 높다.
  • 각 화의 제목은 실존하는 일본 노래이다. 주로 90년대, 2000년대 유명 얼터너티브 록 음악들로 구성되어 있다.

회차제목[4]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東京ワッショイ[5]
도쿄 으랏차
사카이 카즈오사카이 카즈오
이무라 켄지[L]
야마자키 치카
(山﨑智加)
日/韓:
2024.04.06.
제2화夜行性の生き物3匹[6]
야행성 생물 세 마리
아사쿠라 마야
(朝倉舞彩)
日/韓:
2024.04.13.
제3화ズッコケ問答[7]
엉뚱한 문답
히라야마 미호
(平山美穂)
사카이 카즈오[L]
日/韓:
2024.04.20.
제4화感謝(驚)[8]
감사(놀람)
오오츠키 카즈에
(大槻一恵)
日/韓:
2024.04.27.
제5화歌声よおこれ[9]
노랫소리여 일어나라
사카이 카즈오
미무라 아츠시[L]
(三村厚史)
미무라 아츠시[L]日/韓:
2024.05.04.
제6화はぐれ者賛歌[10]
아웃사이더 찬가
사카이 카즈오타나베 야스히로
(田辺泰裕)
日/韓:
2024.05.11.
제7화名前をつけてやる[11]
이름을 붙여 주겠어
오오츠키 카즈에
이무라 켄지
日/韓:
2024.05.18.
제8화もしも君が泣くならば[12]
만약 네가 운다면
히라야마 미호日/韓:
2024.05.25.
제9화欠けた月が出ていた
이지러진 달이 나왔다
히라이케 아야코
(平池綾子)
이이무라 마사유키
(飯村正之)
日/韓:
2024.06.01.
제8화もしも君が泣くならば[13]日/韓:
2024.05.25.


7. 회차별 WEB 예고편[편집]


제1화 ▼
제2화 ▼
제3화 ▼
제4화 ▼
제5화 ▼
제6화 ▼
제7화 ▼
제8화 ▼
제9화 ▼

8. 평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걸즈 밴드 크라이/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미디어 믹스[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토게나시 토게아리의 라이브, 라디오 등의 활동에 대한 내용은 토게나시 토게아리 문서
토게나시 토게아리번 문단을
활동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게임[편집]


TSG2023의 토에이 애니메이션 부스에서 게임화 프로젝트 검토중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장르, 플랫폼, 개발사등은 미정.


9.2. Blu-ray & DVD[편집]


width=280&theme=light]]파일:걸즈 밴드 크라이 애니플러스 로고 화이트.svgBLU-RAY & DVD>
| Vol.1
Vol.2Vol.3
사양 ▼
발매일: 2024년 6월 26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4

CD + DVD
UMXK-9312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1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4,95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3,850엔 (소비세 포함)
사양 ▼
발매일: 2024년 7월 31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5

CD + DVD
UMXK-9313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2, 3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사양 ▼
발매일: 2024년 8월 28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6

CD + DVD
UMXK-9314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4, 5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특전 ▼
특전 ▼
특전 ▼
Vol.4Vol.5Vol.6
사양 ▼
발매일: 2024년 9월 25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7

CD + DVD
UMXK-9315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6, 7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사양 ▼
발매일: 2024년 10월 30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8

CD + DVD
UMXK-9316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8, 9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사양 ▼
발매일: 2024년 11월 27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39

CD + DVD
UMXK-9317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10, 11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특전 ▼
특전 ▼
특전 ▼
Vol.7판매처별 특전
사양 ▼
발매일: 2024년 12월 25일

카탈로그 번호

CD + Blu-ray
UMXK-9040

CD + DVD
UMXK-9318

패키지 구성: 디지재킷, 삼면등 슬리브 케이스

수록 화: 제12, 13화

발매사: 유니버설 뮤직 재팬

가격

CD + Blu-ray
8,800엔 (소비세 포함)

CD + DVD
7,700엔 (소비세 포함)
상세 내용 ▼
특전 ▼


10. 기타[편집]


  • 한국에서는 Anime X Game Festival 2023에서 토게나시 토게아리의 인사말과 爆ぜて咲く의 MV 영상으로 구성된 광고 영상으로[14] 처음 소개하였다. 그 외에도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에 한국어 자막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등 한국 팬들을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특이하게도 화제성에 비해 프랑스를 제외한 서양권에 정식으로 스트리밍되는 곳이 아예 없다. 동양권에서도 한국이 유일하며, 중국에서도 합법적으로 스트리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식 트위터나 유튜브에는 북미/중국권에도 방영해달라는 요구가 꽤 많은 상황이며, 그만큼 불법 자막이나 스트리밍도 성행하고 있다. 불법 자막의 완성도가 낮다 보니 해외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쓸데없이 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15] 공식적으로 영어/중국어 가사 번역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작품이고, 노래도 해외 공개를 고려하여 유니버설 뮤직 재팬 레이블을 선택했다고 하는데 왜 이런 상황이 되었는지는 불명. 토에이 입장에선 수익성을 고려하면 수출을 안 할 이유가 없어서 무언가 전략적인 이유가 있다거나 아니면 아무 데서도 수입해가지 않았다거나 하는 추측만 나돌 뿐이다. 아무튼 이 때문에 현재로서는 흑자를 내기 위해선 최대 시장인 미국, 중국 없이 오직 일본, 한국, 프랑스만으로 수익을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11.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4:03:15에 나무위키 걸즈 밴드 크라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풀 3D는 아니고 작화도 있다고 한다.[2] hololive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되는 숏 애니메이션 '홀로그라'도 24 프레임이다.[3]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24 프레임보다 더 많은 프레임을 쓴 3D 애니메이션은 하이스코어 걸 밖에 없다. 이 작품은 고전 게임을 다루는 작품의 테마와 맞추기 위해 일부러 고전 게임의 최대 프레임 수인 60 프레임에 맞췄다고 한다.[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5] 원제는 엔도 켄지가 1979년에 발표한 곡. 듣기[L] A B C D 라이브[6] 원제는 유라유라 제국이 2003년에 발표한 곡. 듣기[7] 원제는 eastern youth가 2001년에 발표한 곡. 듣기[8] 원제는 Fishmans가 1994년에 발표한 곡. 듣기[9] 원제는 삼보마스터가 2005년에 발표한 곡. 듣기[10] 원제는 플라워컴퍼니즈가 2006년에 발표한 곡. 듣기[11] 원제는 스핏츠가 1991년에 발표한 곡. [12] 원제는 GOING STEADY가 2001년에 발표한 곡. 듣기[13] 원제는 GOING STEADY가 2001년에 발표한 곡. [14] 레드 스테이지와 블루 스테이지 중앙 화면에서 나오는 영상[15] 가장 큰 오해가 터졌던 것이 8화로, 니나의 '고백'이라는 말을 confessing my love to you라는 말로 번역했고 이게 널리 퍼지기까지 했다. 이 때문에 유튜브에서는 서양 팬들이 '이거 진짜 동성애냐?'는 식으로 반응하자 일본 팬들이 나서서 '동성애스러운 의미는 아니다'라고 일일이 정정해주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 그럼에도 한 번 잘못 꼬인 첫 단추가 올바르게 수정되긴 어려워서, 서양에선 이 장면을 단순히 백합러들을 위한 떡밥으로 보는 것을 넘어 아예 진지한 동성애(Homosexuality)로 보는 등 오해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